2022년 칭하이성 지진

북위 37° 48′ 40″ 동경 101° 16′ 30″ / 북위 37.811° 동경 101.275°  / 37.811; 101.275종류주향이동단층형 지진피해피해 지역중국 칭하이성 및 간쑤성사상자9명 부상

2022년 칭하이성 지진은 2022년 1월 8일 중국 칭하이성간쑤성 경계 지역의 먼위안 후이족 자치현에서 일어난 모멘트 규모 Mw6.6의 지진이다.[3][4][5] 2021년 마둬 지진 이후 중국에서 발생한 규모가 가장 큰 지진이다.[6]

지진

본진은 티베트고원 동북부의 얕은 깊이(10 km 이하 천발지진)의 주향이동단층인 하이위안 단층에서 발생한 지진이다. 이 지진의 단층은 친링산맥 인근에 있다. 본진이 발생한 단층은 하이위안 단층대 중 한 부분인 런룽링 단층에서 발생했다. 단층 파열은 대부분 깊이 8 km 내 상부 지각에서만 일어났다. 깊이 4 km에서 최대 3.5 m의 단층 미끄러짐 길이가 측정되었다.[7] 지표면의 단층 파열은 22 km 길이로 드러났으며 표면에서의 최대 단층 어긋남은 2.1 m였다. 측정된 최대 수정 메르칼리 진도 계급은 IX이다. 진도 VI 이상의 강한 진동을 느낀 지역은 23,417 km2에 달했다.[1]

2022년 1월 17일까지 584차례의 여진이 기록되었다. 가장 큰 규모의 여진은 M5.3 규모이다. 여진은 동서 방향 40 km 길이의 띠 모양을 분포로 일어났다. 많은 여진이 본진의 단층 파열 지역 바로 아래 진원 깊이 7-14 km로 나왔다. 지각에서부터 깊이 5 km 이하에서는 여진이 거의 일어나지 않았다.[7]

피해와 부상자

2022년 칭하이성 지진에서 나온 여러 피해 사진

이 지진으로 장예시에서 최소 주택 137채가 파손되었고 벽 2곳이 붕괴되었다.[8] 먼위안 후이족 자치현에서는 대피하는 동안 공황으로 4명이 경상을 입었다.[3] 총 9명이 부상을 입었으며 이 중 8명은 하루만에 병원에서 퇴원했다.[9]

지진으로 란신 제2고속철도의 일부 교량과 터널이 피해를 입었고 수리가 끝날 때까지 일시적으로 운행이 중단되었다.[10] 또한 만리장성도 큰 영향을 미쳤다. 명나라 시기 지어진 만리장성 산단현의 2 m 구간이 붕괴되었다. 2022년부터 붕괴 구간의 재건 공사가 시작되었다.[11]

같이 보기

각주

  1. Hongfeng Yang; Dun Wang; Rumeng Guo; Mengyu Xie; Yang Zang; Yue Wang; Qiang Yao; Chuang Cheng; Yanru An; Yingying Zhang (2022). “Rapid report of the 8 January 2022 MS 6.9 Menyuan earthquake, Qinghai, China”. 《Earthquake Research Advances》 (영어) (Elsevier) 2 (100113): 100113. Bibcode:2022EaRA....200113Y. doi:10.1016/j.eqrea.2022.100113. S2CID 246434547. 
  2. “青海门源6.9级地震烈度图发布 最高烈度为IX度(9度)” [Qinghai Menyuan M6.9 earthquake intensity map released, the highest intensity is IX degree (9 degree)]. 2022년 1월 1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6월 3일에 확인함. 
  3. “青海门源发生6.9级地震 4位民众避险时受轻伤” (중국어). Economic Daily. 2022년 1월 8일. 2022년 1월 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1월 8일에 확인함. 
  4. “青海门源6.9级地震致明长城山丹段约两米墙体发生塌损”. 2022년 1월 9일. 2022년 1월 1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1월 9일에 확인함. 
  5. “Strong earthquake shakes remote area in western China”. 《The Independent》 (영어). 2022년 1월 8일. 2022년 1월 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1월 8일에 확인함. 
  6. “M 7.3 - Southern Qinghai, China”. 《earthquake.usgs.gov》. 2021년 6월 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5월 21일에 확인함. 
  7. Li, Yongsheng; Jiang, Wenliang; Li, Yujiang; Shen, Wenhao; He, Zhongtai; Li, Bingquan; Li, Qiang; Jiao, Qisong; Tian, Yunfeng (2022). Stramondo, Salvatore, 편집. “Coseismic Rupture Model and Tectonic Implications of the January 7 2022, Menyuan Mw 6.6 Earthquake Constraints from InSAR Observations and Field Investigation”. 《Remote Sensing》 14 (9): 2111. Bibcode:2022RemS...14.2111L. doi:10.3390/rs14092111. 
  8. Yang Li, 편집. (2022년 1월 8일). “受地震影响 甘肃张掖137户房屋出现裂缝” (중국어). The Beijing News. 2022년 1월 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1월 8일에 확인함. 
  9. “青海门源6.9级地震 地面剧烈晃动!12余次余震 近6000人受灾!监控视频现地震前耀眼强光 什么情况 _ 东方财富网”. 《finance.eastmoney.com》. 2022년 1월 1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1월 10일에 확인함. 
  10. “青海6.9级地震致兰新高铁受损严重,西北多条铁路运行受影响|界面新闻”. 《www.jiemian.com》 (중국어). 2022년 1월 1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1월 10일에 확인함. 
  11. “The part of the Great Wall of China collapsed due to earthquake”. 《turkmenportal.com》 (영어). 2022년 1월 2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1월 27일에 확인함. 
  • v
  • t
  • e
1월
2월3월
4월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11월
  • 네팔 도티구(8일, M5.7)
  • 인도네시아 서자와주(21일, M5.6)†
  • 터키 뒤즈제(23일, M6.1)
12월
  • 미국 캘리포니아주(20일, M6.4)
† 30명 이상 사망한 지진  · ‡ 이 해 사망자가 가장 많은 지진  · 지진 규모는 모멘트 규모  · 지진 발생일시는 UTC
  • v
  • t
  • e
역사지진
  • 태산 (기원전 1813년?, M?)
  • 산시성 신저우 (512년, M7.5)
  • 산시성 딩샹 (1038년, M7.25)
  • 광둥성 차오저우 (1067년, M6.5)
  • 지린성 쑹위안 (1119년, M7)
  • 북직례 지역 (1290년, M6.8)
  • 산시성 린펀 (1303년, M8.0)
  • 윈난성 리장 (1515년, M?)
  • 산시성 (1556년, M8.5)
  • 백두산 인근 (1597년, M8)
  • 광둥성 산터우 (1600년, M?)
  • 푸젠선 취안저우 (1604년, M7.5)
  • 광둥성 (1605년, M?)
  • 산둥성 린이 (1668년, M8.5)
  • 산허-핑구 지역 (1679년, M8.0)
  • 퉁웨이-간쑤 지역 (1718년, M7.5)
  • 쓰촨성 캉딩-루딩 지역 (1786년, M7.75)
  • 윈난성 쑹밍 (1833년, M8.0)
  • 충칭 (1856년, M?)
  • 간쑤성 우두 (1879년, M8.0)
20세기
  • 지린성 왕칭 (1902년, M6.6)
  • 광둥성 산터우 (1918년, M7.2)
  • 닝샤성 하이위안 (1920년, M8.3)
  • 윈난성 다리 (1925년, M7.0)
  • 간쑤성 구랑 (1927년, M8.0)
  • 신장성 푸윈 (1931년, M8.0)
  • 간쑤성 주취안 (1932년, M7.6)
  • 간쑤성 창마 (1932년, M7.6)
  • 쓰촨성 뎨시 (1933년, M7.3)
  • 산둥성 허쩌 (1937년, M7.0)
  • 헤이룽장성 둥닝 (1940년, M7?)
  • 압록강 하구 (1944년, M6.8)
  • 티베트-아삼 경계 (1950년, M8.6)
  • 티베트 당슝 (1952년, M7.5)
  • 쓰촨성 유자 (1955년, M6.8)
  • 광동성 광저우 (1962년, M6.1)
  • 허베이성 싱타이 (1966년, M7.2)
  • 보하이만 해역 (1969년, M7.4)
  • 광둥성 양장 (1969년, M6.4)
  • 윈난성 퉁하이 (1970년, M7.5)
  • 쓰촨성 루훠 (1973년, M7.9)
  • 지린성 왕칭 (1973년, M7.8)
  • 윈난성 다관 (1974년, M7.1)
  • 랴오닝성 하이청 (1975년, M7.5)
  • 윈난성 룽링 (1976년, M7.3)
  • 쓰촨성 쑹판-핑우 (1976년, M6.7)
  • 허베이성 탕산 (1976년, M7.5)
  • 쓰촨성 다오푸 (1981년, M6.8)
  • 윈난성 루취안 (1985년, M6.3)
  • 신장 우차 (1985년, M7.4)
  • 윈난성 란창-겅마 (1988년, M7.6)
  • 칭하이성 궁허 (1990년, M7.0)
  • 윈난성 우딩 (1995년, M6.2)
  • 윈난성 리장 (1996년, M7.0)
  • 내몽골 바오터우 (1996년, M6.4)
  • 신장 가스 (1997년, M6.4)
  • 티베트 마니 (1997년, M7.9)
  • 허베이성 장베이 (1998년, M6.2)
  • 윈난성 닝랑 (1998년, M6.2)
  • 지린성 왕칭 (1999년, M7.0)
  • 윈난성 야오안 (2000년, M5.9)
21세기
  • 티베트 쿤룬산맥 (2001년, M8.2)
  • 지린성 왕칭 (2002년, M7.2)
  • 신장 가스-마랄베시 (2003년, M6.3)
  • 신장 자오쑤 (2003년, M6.0)
  • 장시성 차이쌍 (2005년, M5.7)
  • 윈난성 옌진 (2006년, M5.1)
  • 쓰촨성 (쓰촨 대지진) (2008년, M8.2)
  • 윈난성 더훙 (2008년, M5.9)
  • 쓰촨성 판즈화 (2008년, M6.1)
  • 티베트 당슝 (2008년, M6.4)
  • 윈난성 야오안 (2009년, M5.7)
  • 윈난성 위수 (2010년, M7.1)
  • 광둥성 선전 (2010년, M3.8)
  • 윈난성 잉장 (2011년, M5.8)
  • 윈난성 이량 (2012년, M5.7)
  • 쓰촨성 야안 (2013년, M7.0)
  • 간쑤성 딩시 (2013년, M6.6)
  • 지린성 첸궈얼뤄쓰 (2013년, M5.8)
  • 신장 케리야 (2014년, M7.3)
  • 윈난성 잉장 (2014년, M6.1)
  • 윈난성 루뎬 (2014년, M6.5)
  • 윈난성 징구 (2014년, M6.6)
  • 쓰촨성 캉딩 (2014년, M6.3)
  • 신장 피산 (2015년, M6.4)
  • 신장 아커타오 (2016년, M6.7)
  • 쓰촨성 주자이거우 (2017년, M7.0)
  • 신장 징허 (2017년, M6.3)
  • 쓰촨성 칭촨 (2017년, M5.4)
  • 티베트 미린 (2017년, M6.9)
  • 지린성 쑹위안 (2018년, M5.3)
  • 윈난성 퉁하이 (2018년, M5.0)
  • 쓰촨성 이빈 (2018년, M5.7)
  • 쓰촨성 쯔궁 (2019년, M4.9)
  • 쓰촨성 이빈 (2019년, M6.0)
  • 쓰촨성 네이장 (2019년, M5.4)
  • 간쑤성 샤허 (2019년, M5.7)
  • 신장 카슈가르 (2020년, M6.4)
  • 주강 삼각주 (2020년, M3.5)
  • 윈난성 차오자 (2020년, M5.0)
  • 허베이성 탕산 (2020년, M5.1)
  • 윈난성 양비 (2021년, M6.4)
  • 칭하이성 마둬 (2021년, M7.4)
  • 윈난성 루현 (2021년, M5.4)
  • 칭하이성 먼위안 (2022년, M6.9)
  • 쓰촨성 야안 (2022년, M5.8)
  • 쓰촨성 루딩 (2022년, M6.8)
  • 산둥성 핑위안 (2023년, M5.5)
  • 간쑤성 지스산 (2023년, M5.9)
  • 신장 우스 (2024년, M7.0)